“출전정지”는 영어로 “suspension” 또는 “disqualification”로 번역됩니다. 이 표현은 선수나 팀이 일정 기간 동안 경기나 대회에 참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출전정지”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Suspension (출전정지)
- Disqualification (실격)
- Ban from competition (경기 출전 금지)
1. Suspension (출전정지)
이 표현은 특정 기간 동안의 출전 제한을 강조합니다.
- “The player received a suspension for violating the league’s rules.” (그 선수는 리그 규칙을 위반하여 출전정지를 받았다.)
- “Suspension can impact a team’s performance during critical matches.” (출전정지는 중요한 경기에서 팀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After the suspension period, the player can return to competition.” (출전정지 기간이 끝나면 선수는 다시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2. Disqualification (실격)
이 표현은 주로 대회에서 규정 위반으로 인한 실격을 강조합니다.
- “The team faced disqualification due to fielding an ineligible player.” (그 팀은 자격이 없는 선수를 출전시켜 실격 처분을 받았다.)
- “Disqualification can occur for serious infractions of the rules.”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할 경우 실격이 발생할 수 있다.)
- “Athletes must adhere to the rules to avoid disqualification.” (선수들은 실격을 피하기 위해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3. Ban from competition (경기 출전 금지)
이 표현은 보다 직접적으로 경기에서의 출전을 금지하는 상태를 설명합니다.
- “The athlete received a ban from competition for doping violations.” (그 선수는 도핑 위반으로 경기 출전 금지를 받았다.)
- “A ban from competition can have long-lasting effects on an athlete’s career.” (경기 출전 금지는 선수의 경력에 오랫동안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After the ban, the athlete must undergo testing before returning.” (출전 금지 후 선수는 복귀 전에 검사를 받아야 한다.)
“출전정지”는 스포츠에서 규칙 위반이나 특정 사유로 인해 발생하는 중요한 처벌로, 선수나 팀의 경기에 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출전정지의 다양한 측면을 잘 반영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