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징악(權善懲惡)”을 영어로?

“권선징악”은 영어로 “promoting good and punishing evil,”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또는 “poetic justice”로 번역됩니다. 이 표현은 선한 행동을 장려하고 악한 행동을 처벌하는 원칙을 강조합니다.

“권선징악”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1. Promoting good and punishing evil (권선징악)
  2.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덕을 보상하고 악을 처벌하기)
  3. Encouraging righteousness and punishing wrongdoing (정의를 장려하고 부정을 처벌하기)
  4. Poetic justice (시적 정의)

1. Promoting good and punishing evil (권선징악)

이 표현은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장려하고, 부정직하거나 악한 행동에 대해 처벌을 가하는 원칙을 강조합니다. 이는 사회적 정의와 도덕적 책임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가치로, 올바른 행동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지원받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 “The government aims at promoting good and punishing evil through strict laws.” (정부는 엄격한 법을 통해 권선징악을 목표로 한다.)
  • “In a just society, promoting good and punishing evil should be a priority.” (공정한 사회에서는 권선징악이 최우선이어야 한다.)
  • “Her efforts in promoting good and punishing evil were recognized by the community.” (그녀의 권선징악을 위한 노력은 지역 사회에서 인정받았다.)

2.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덕을 보상하고 악을 처벌하기)

이 표현은 선한 행동을 보상하고 악한 행동을 처벌하는 도덕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이는 사회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며, 도덕적 기준이 강화되고 사회적 신뢰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The education system should focus on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교육 시스템은 덕을 보상하고 악을 처벌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 “He believes that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is essential for a healthy society.” (그는 덕을 보상하고 악을 처벌하는 것이 건강한 사회에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 “Through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we can cultivate a better community.” (덕을 보상하고 악을 처벌함으로써 더 나은 공동체를 키울 수 있다.)

3. Encouraging righteousness and punishing wrongdoing (정의를 장려하고 부정을 처벌하기)

이 표현은 정의로운 행동을 장려하고 잘못된 행동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개인의 도덕적 책임을 강화하고, 사회적 신뢰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정의가 구현될 때, 구성원들은 더 나은 행동을 할 유인을 가지게 됩니다.

  • “The role of leaders is to encourage righteousness and punish wrongdoing.” (리더의 역할은 정의를 장려하고 부정을 처벌하는 것이다.)
  • “Encouraging righteousness and punishing wrongdoing fosters trust in the system.” (정의를 장려하고 부정을 처벌하는 것은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조성한다.)
  • “By encouraging righteousness and punishing wrongdoing, we can build a fairer society.” (정의를 장려하고 부정을 처벌함으로써 더 공정한 사회를 구축할 수 있다.)

4. Poetic justice (시적 정의)

이 표현은 특정 행동에 대한 보복이 그 행동의 결과로서 마땅히 일어나는 경우를 강조합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정의가 실현되는 상황을 나타내며, 악행을 저지른 이가 그에 합당한 결과를 경험하게 되는 과정입니다. 이 개념은 사람들에게 행동의 결과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사회적 가치에 대한 신뢰를 높입니다.

  • “In the end, the villain faced poetic justice when his own deceit led to his downfall.” (결국 악당은 자신의 속임수가 그를 망하게 하면서 시적 정의를 맞았다.)
  • “The story concluded with poetic justice, where good prevailed and evil was punished.” (이야기는 선이 승리하고 악이 처벌되는 시적 정의로 끝났다.)
  • “Poetic justice often serves as a reminder that actions have consequences.” (시적 정의는 종종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

“권선징악”은 도덕적 원칙에 따라 선한 행동을 장려하고 악한 행동을 처벌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사회적 책임, 윤리적 행동 및 법의 적용과 관련된 논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