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반낭자(杯盤狼藉)”는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어수선하고 혼잡한 상태”를 나타내며, 무질서하고 엉망인 상황을 비유적으로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잔치나 파티 등에서 사람들 사이에 음식을 먹고 마신 뒤, 그릇과 잔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습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배반낭자(杯盤錄藉)”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In disarray (배반낭자) – “어수선한 상태”
- In a chaotic and disorderly state – “혼잡하고 무질서한 상태”
- With dishes and cups scattered everywhere – “그릇과 술잔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1. In disarray (배반낭자)
“배반낭자(杯盤錄藉)”는 “어수선한 상태”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주로 사건이나 상황이 정리되지 않고 혼란스러운 상태를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The party ended with everything in disarray, with cups and plates scattered all over the floor.” (파티가 끝날 때, 그릇과 술잔이 바닥에 흩어져 어수선한 상태였다.)
- “After the meeting, the conference room was left in disarray, with papers and files everywhere.” (회의 후, 회의실은 어수선한 상태로 남아 있었고, 종이와 파일들이 여기저기 놓여 있었다.)
2. In a chaotic and disorderly state
이 표현은 어떤 상황이나 장소가 매우 혼잡하고 무질서한 상태일 때 사용됩니다. 주로 큰 사건이나 복잡한 상황에서 자주 쓰입니다.
- “The room was in a chaotic and disorderly state, with chairs knocked over and papers flying around.” (방은 혼잡하고 무질서한 상태였고, 의자들이 넘어져 있고 종이들이 날리고 있었다.)
- “The aftermath of the celebration left the house in a chaotic and disorderly state, with empty bottles and half-eaten food everywhere.” (그 축하의 여파로 집은 혼잡하고 무질서한 상태로 남았고, 빈 병과 먹다 남은 음식들이 여기저기 있었다.)
3. With dishes and cups scattered everywhere
이 표현은 “그릇과 술잔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상태를 강조하며, 주로 축제나 파티 후의 장면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The dinner party ended late, and the kitchen was left with dishes and cups scattered everywhere.” (저녁 파티는 늦게 끝났고, 부엌은 그릇과 술잔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상태였다.)
- “After the wild celebration, the living room was a mess, with dishes and cups scattered everywhere.” (그 미친 축하 후, 거실은 난장판이 되었고, 그릇과 술잔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배반낭자(杯盤錄藉)는 “어수선하고 혼잡한 상태”를 의미하는 고사성어로, 주로 분주하거나 정리가 되지 않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주로 잔치나 파티에서 음식과 술잔이 흩어져 있는 모습을 묘사하며, 무질서한 상태를 설명할 때 적합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