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슬노안(婢膝奴顔)”을 영어로?

“비슬노안(婢膝奴顔)”는 비굴하게 아첨하는 태도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누군가가 자신을 낮추어 상대방에게 아첨하거나 과도하게 복종하는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이 성어는 특히 겸손을 가장한 아첨이나 자기 존엄을 버리고 지나치게 비굴하게 대하는 태도를 비판적으로 나타냅니다.

“비슬노안”은 하인처럼 낮은 자세로 무릎을 꿇고, 얼굴을 굽히는 모습에서 유래하여, 자기 존엄을 잃고 과도하게 상대방에게 아첨하는 행동을 묘사합니다. 이 표현은 겸손이 아닌 지나친 아첨이나 비굴함을 경멸적으로 나타내는 말입니다.

“비슬노안(婢膝奴顔)”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1. Kneeling and flattering (무릎을 꿇고 아첨하다)
  2. To abase oneself and fawn (자기 자신을 낮추고 아첨하다)
  3. To show servile deference (비굴한 존경을 보이다)

1. Kneeling and flattering

이 표현은 무릎을 꿇고 아첨하다는 뜻으로, 상대방에게 지나치게 아첨하며 자신을 낮추는 행동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 “He spent the whole meeting kneeling and flattering his boss to get a promotion.” (그는 승진을 위해 회의 내내 상사를 향해 무릎을 꿇고 아첨했다.)
  • “Kneeling and flattering is never a good way to earn respect.” (무릎을 꿇고 아첨하는 것은 결코 존경을 얻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
  • “She was kneeling and flattering the wealthy man in hopes of receiving a gift.” (그녀는 부유한 남자에게 선물을 받기를 바라며 무릎을 꿇고 아첨했다.)

2. To abase oneself and fawn

이 표현은 자기 자신을 낮추고 아첨하다는 의미로, 자존심을 버리고 지나치게 상대방에게 아첨하는 행동을 묘사합니다.

  • “He abased himself and fawned over the influential guests to gain favor.” (그는 영향력 있는 손님들에게 아첨하며 자신을 낮췄다.)
  • “She abased herself and fawned over the CEO, hoping for a promotion.” (그녀는 승진을 바라고 CEO에게 아첨하며 자신을 낮췄다.)
  • “He never felt the need to abase himself and fawn over anyone, which made him popular among his colleagues.” (그는 누구에게도 아첨하며 자신을 낮추지 않았고, 그 덕분에 동료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

3. To show servile deference

이 표현은 비굴한 존경을 보이다는 의미로, 자기 존엄을 잃고 지나치게 상대방에게 복종하는 태도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He showed servile deference to the wealthy businessman, hoping for a lucrative deal.” (그는 유리한 거래를 기대하며 부유한 사업가에게 비굴한 존경을 보였다.)
  • “Her servile deference to the king was met with mockery by the court.” (그녀의 왕에게 대한 비굴한 존경은 궁정에서 조롱을 받았다.)
  • “The servant showed servile deference to his master, always bowing and speaking humbly.” (그 하인은 항상 고개를 숙이고 겸손하게 말하며 주인에게 비굴한 존경을 보였다.)

비슬노안(婢膝奴顔)은 자기 존엄을 버리고 지나치게 아첨하거나 비굴한 태도를 보이는 행동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이 성어를 사용하면 자기 존엄을 잃고 상대방에게 아첨하는 부정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뉘앙스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