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저옥배(象箸玉杯)”는 “코끼리의 젓가락과 옥으로 된 잔”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물건들을 꾸미기 위한 장식적인 사치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과도한 사치나 불필요한 물건을 추구하는 욕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상저옥배의 속뜻은 사람의 욕심이 끝없이 이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경제학에서 말하는 디드로 효과(Denial Effect)와 유사한 개념으로, 욕심이 욕심을 낳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상저옥배(象箸玉杯)”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Ivory chopsticks and a jade cup
- Unnecessary extravagance and overindulgence
- A symbol of endless desire and excess
1. Ivory chopsticks and a jade cup
“상저옥배(象箸玉杯)”는 코끼리의 젓가락과 옥으로 된 잔을 뜻하는 직역 표현으로, 불필요한 사치와 장식적인 물건을 추구하는 욕망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실용성보다는 장식적이고, 남에게 자랑하려는 목적의 물건을 추구하는 행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 “He kept acquiring more and more items, like ivory chopsticks and a jade cup, driven by an insatiable desire for luxury.”
(그는 상저옥배처럼 점점 더 많은 물건을 사들이며 사치에 대한 끝없는 욕망에 사로잡혔다.) - “His obsession with ivory chopsticks and a jade cup reflects how greed only leads to more greed, with no end in sight.”
(그의 상저옥배에 대한 집착은 욕망이 끝없이 이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2. Unnecessary extravagance and overindulgence
“상저옥배”는 불필요한 사치와 과도한 탐닉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실용적이지 않고 장식적인 목적을 위한 물건들을 추구하는 행위를 설명합니다. 이런 행동은 끊임없는 욕망의 순환을 불러일으키며, 자기만족을 넘어 과도한 사치로 흐를 수 있음을 경고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The endless collection of unnecessary items, like ivory chopsticks and a jade cup, is a classic example of how greed breeds more greed.”
(필요 없는 물건들을 끝없이 모으는 것, 예를 들어 상저옥배와 같은 것은 욕심은 욕심을 낳는다는 전형적인 예시이다.) - “Her obsession with unnecessary extravagance and overindulgence led her to constantly crave more, like ivory chopsticks and a jade cup.”
(그녀는 상저옥배처럼 불필요한 사치에 집착하며 계속 더 많은 것을 원했다.)
3. A symbol of endless desire and excess
이 표현은 끝없는 욕망과 과잉을 상징하는 말로, 하나의 사치품을 구입한 뒤 그에 어울리는 또 다른 사치품을 계속해서 추구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처럼 상저옥배는 끊임없이 욕망을 증대시키는 현상을 나타내며, 자기만족을 넘어선 과도한 소비와 탐닉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He lived his life as if chasing after ivory chopsticks and a jade cup, always wanting more without ever being satisfied.”
(그는 상저옥배를 추구하는 것처럼, 언제나 더 많은 것을 원하며 결코 만족하지 못하는 삶을 살았다.) - “Her quest for ivory chopsticks and a jade cup became a symbol of how endless desire and excess can dominate one’s life.”
(그녀의 상저옥배에 대한 추구는 끝없는 욕망과 과잉이 어떻게 한 사람의 삶을 지배할 수 있는지를 상징했다.)
“상저옥배(象箸玉杯)”의 의미
“상저옥배(象箸玉杯)”는 불필요한 사치와 지나친 욕망을 표현하는 성어로, 욕심이 끝없이 이어지는 현상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특히, 경제학의 디드로 효과와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사치품을 구입한 후, 그것과 잘 어울리는 다른 사치품을 계속해서 구입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상저옥배의 속뜻은 욕망이 끝없이 이어지며, 하나의 물건을 장만하고 나면 그 물건에 어울릴 만한 다른 물건을 계속해서 구하고, 결국 또 다른 사치를 추구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