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수무책(束手無策)”을 영어로?

“속수무책(束手無策)”은 “at a loss” 또는 “helpless”로 번역됩니다. 이 표현은 어떤 상황에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없거나, 어떻게 해야 할지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속수(束手)는 “손을 묶다”라는 뜻으로, 무력하고 아무런 대응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무책(無策)은 “방법이 없다”라는 뜻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나 방도가 전혀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속수무책(束手無策)”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1. At a loss
  2. Helpless
  3. Without a plan

1. At a loss

“At a loss”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거나,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기대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 사용됩니다.

  • “When the project failed, we were all at a loss as to what to do next.”
    (프로젝트가 실패했을 때, 우리는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전혀 몰랐다.)
  • “She was at a loss for words when she heard the shocking news.”
    (그녀는 충격적인 소식을 들었을 때 말문이 막혔다.)
  • “The team was at a loss after the sudden crisis hit, with no clear solution in sight.”
    (그 팀은 갑작스러운 위기가 닥친 후 해결책이 보이지 않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랐다.)

2. Helpless

“Helpless”는 스스로 상황을 개선하거나 해결할 능력이 없는 상태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주로 스스로 할 수 없거나, 남을 도울 힘이 없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He felt helpless as the floodwaters rose higher and higher.”
    (그는 홍수가 점점 더 커지자 무력감을 느꼈다.)
  • “The child cried helplessly when she lost her toy.”
    (그 아이는 장난감을 잃어버렸을 때 어쩔 줄 몰라 울었다.)
  • “They were helpless in the face of the natural disaster, with no resources to help them.”
    (그들은 자연재해 앞에서 아무런 자원도 없어서 무력했다.)

3. Without a plan

“Without a plan”은 상황을 해결할 방법이나 계획이 전혀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어떤 일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전혀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 “We found ourselves without a plan when the main strategy failed.”
    (우리는 주요 전략이 실패했을 때 계획이 전혀 없이 막막한 상황에 처했다.)
  • “She was without a plan when she arrived at the new city, not knowing where to start.”
    (그녀는 새로운 도시에 도착했을 때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아무런 계획도 없이 있었다.)
  • “The team was without a plan when the initial approach didn’t work.”
    (팀은 초기 방법이 통하지 않자, 해결책이 없이 막막한 상태였다.)

“속수무책(束手無策)”의 의미

“속수무책(束手無策)”은 어떤 상황에서 해결 방법을 전혀 모르거나,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속수(束手)는 손을 묶다라는 뜻으로, 아무런 대응을 할 수 없는 무력한 상황을 나타내며, 무책(無策)은 방법이나 계획이 없다는 뜻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지 못하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일본어 발음으로는 “なすすべがない”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