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익하(損上益下)”는 “Harm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또는 “Damag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로 번역됩니다. 이 표현은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서 아랫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손상(損)은 “해를 끼친다”, 익하(益下)는 “아래를 이롭게 한다”는 뜻으로, 상위 계층을 희생시키고 하위 계층에게 이익을 주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이 말은 조직이나 사회에서 위를 해치고 아래를 돕는 경우를 설명하며, 출전은 ‘주역(周易)’입니다.
“손상익하(損上益下)”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Harm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 Damag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 Undermining the upper while benefiting the lower
1. Harm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Harm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는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 아랫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상황을 설명하는 표현입니다. 상위 계층의 이익을 희생시키며 하위 계층에 이익을 주려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 “The decision to cut bonuses for top executives while giving raises to lower-level employees is a case of harm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임원들에게 보너스를 삭감하고 하위 직원들에게 급여 인상을 주는 결정은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 아랫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사례이다.) - “The policy of lowering taxes for the lower-income groups while increasing taxes on the wealthy seems like harm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저소득층에게 세금을 낮추고 부유한 계층에 세금을 늘리는 정책은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 아랫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느낌을 준다.) - “By cutting funding to top-tier schools while increasing support for underprivileged students, the government is harm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정부는 상위 학교들의 예산을 삭감하면서 저소득층 학생들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다. 이는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 아랫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사례이다.)
2. Damag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Damag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는 상위 계층을 해치고 하위 계층을 돕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상위 계층에 손해를 주고 하위 계층에 이익을 주려는 행위입니다.
- “The company’s decision to cut executive pay while increasing wages for factory workers is damag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회사는 임원 급여를 삭감하고 공장 직원들의 급여를 인상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상위 계층에 해를 끼쳐 하위 계층을 돕는’ 상황이다.) - “The new law that imposes higher taxes on corporations while reducing taxes for ordinary citizens is an example of damaging the upper to benefit the lower.”
(기업에 더 높은 세금을 부과하면서 일반 시민들의 세금을 줄여주는 새로운 법은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 아랫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예시이다.) - “The government is damaging the upper by cutting defense spending while allocating more resources to education for lower-income areas.”
(정부는 상위 분야의 예산을 삭감하면서 저소득층 지역의 교육에 더 많은 자원을 배분하고 있다. 이는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 아랫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상황이다.)
3. Undermining the upper while benefiting the lower
“Undermining the upper while benefiting the lower”는 윗사람을 약화시키면서 아랫사람을 돕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상위 계층을 약화시키고 하위 계층에게 이익을 주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 “By cutting top-tier salaries and reallocating the funds to assist lower-income families, the government is undermining the upper while benefiting the lower.”
(정부는 상위 계층의 급여를 삭감하고 그 자금을 저소득층 가정을 지원하는 데 재배분하고 있다. 이는 ‘윗사람을 약화시키면서 아랫사람을 돕는’ 사례이다.) - “The company’s actions of downsizing top management while offering more benefits to lower-level employees is a case of undermining the upper while benefiting the lower.”
(회사는 상위 경영진을 축소하면서 하위 직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이는 ‘윗사람을 약화시키면서 아랫사람을 돕는’ 경우이다.) - “The government’s shift of resources from high-tier public services to community programs for the disadvantaged is undermining the upper while benefiting the lower.”
(정부는 고급 공공 서비스에서 자원을 저소득층을 위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으로 옮기고 있다. 이는 ‘윗사람을 약화시키면서 아랫사람을 돕는’ 상황이다.)
“손상익하(損上益下)”의 의미
“손상익하(損上益下)”는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서 아랫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입니다. 손상(損)은 “해를 끼친다”, 익하(益下)는 “아랫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뜻으로, 상위 계층을 희생시키고 하위 계층에게 이익을 주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윗사람을 희생시키고 아랫사람을 돕는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대해 설명하며, 출전은 주역(周易)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