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멸화(噀酒滅火)”는 “Spitting wine to extinguish a fire” 또는 “Using wine to put out a fire”로 번역됩니다. 이 표현은 술 때문에 재앙을 입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손주(噀酒)는 “술을 뱉다”는 뜻이고, 멸화(滅火)는 “불을 끄다”라는 의미로, 술을 사용하여 불을 끄려는 시도에서 오히려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는 비유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술이나 다른 문제로 인해 상황이 더 나빠지거나 해를 입게 되는 경우를 경고하는 말입니다. 출전은 추성맥(鄒聖脈, 1691-1762)의 저서 유학경림(幼學瓊林)입니다.
“손주멸화(噀酒滅火)”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Spitting wine to extinguish a fire
- Using wine to put out a fire
- Trying to put out fire with alcohol
1. Spitting wine to extinguish a fire
“Spitting wine to extinguish a fire”는 술을 사용해 불을 끄려다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는 상황을 설명하는 표현입니다. 문제를 술로 해결하려 하거나 술로 인해 재앙을 초래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His attempt to cover up the scandal by drinking excessively only made things worse. It’s a classic case of spitting wine to extinguish a fire.”
(그는 스캔들을 술을 마시며 덮으려 했지만 결국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이는 ‘술로 불을 끄려다가 오히려 더 큰 문제를 만든’ 전형적인 사례다.) - “Trying to solve his financial problems by spending more on gambling was like spitting wine to extinguish a fire.”
(도박에 더 많은 돈을 쓰며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것은 ‘술로 불을 끄려다 오히려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든’ 경우였다.) - “The politician thought that drinking to cope with stress would help, but it only made him lose his job. It’s an example of spitting wine to extinguish a fire.”
(그 정치인은 스트레스를 술로 풀려고 했지만 결국 직업을 잃었다. 이는 ‘술로 불을 끄려다 오히려 더 큰 화를 부른’ 사례이다.)
2. Using wine to put out a fire
“Using wine to put out a fire”는 술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려 하거나 술로 인해 문제가 더 커지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 “She tried to calm her nerves with alcohol during the crisis, but it ended up making everything worse. It’s like using wine to put out a fire.”
(위기 중에 술로 긴장을 풀려고 했지만 결국 모든 것을 더 악화시켰다. 이는 ‘술로 불을 끄려다가 오히려 불을 키운’ 사례였다.) - “In an attempt to ease the tension at the meeting, he opened a bottle of wine, but it only escalated the conflict. It was like using wine to put out a fire.”
(회의에서 긴장을 풀어보려 했지만 술을 꺼냈고, 오히려 갈등을 악화시켰다. 이는 ‘술로 불을 끄려다가 오히려 불을 키운’ 상황이었다.) - “Trying to solve his addiction problems by drinking more was like using wine to put out a fire.”
(알콜 중독 문제를 해결하려고 더 많은 술을 마신 것은 ‘술로 불을 끄려다 오히려 불을 키운’ 것과 같다.)
3. Trying to put out fire with alcohol
“Trying to put out fire with alcohol”은 문제를 술로 해결하려 하거나 술로 인해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He believed that drinking would ease the stress of work, but it only caused him to lose focus and make more mistakes. It was like trying to put out fire with alcohol.”
(그는 술이 업무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것이라고 믿었지만 오히려 집중을 잃고 실수를 더 많이 하게 되었다. 이는 ‘술로 불을 끄려다 오히려 불을 키운’ 사례였다.) - “They tried to solve their marital problems by drinking together, but it only created more tension. It’s like trying to put out fire with alcohol.”
(그들은 결혼 문제를 술을 마시며 해결하려 했지만, 오히려 갈등만 더 심해졌다. 이것은 ‘술로 불을 끄려다 오히려 불을 키운’ 상황이다.) - “His attempt to escape reality by drinking only worsened his problems. It was like trying to put out fire with alcohol.”
(그는 술로 현실을 도피하려 했지만 결국 문제를 더 악화시켰다. 이는 ‘술로 불을 끄려다 오히려 불을 키운’ 사례였다.)
“손주멸화(噀酒滅火)”의 의미
“손주멸화(噀酒滅火)”는 술 때문에 재앙을 입는 상황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 손주(噀酒)는 “술을 뱉다”는 의미이고, 멸화(滅火)는 “불을 끄다”라는 뜻으로, 불을 끄려는 시도에서 오히려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는 비유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술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든다는 교훈을 전달하는 말입니다. 출전은 추성맥(鄒聖脈, 1691-1762)의 저서 유학경림(幼學瓊林)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