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전노(守錢奴)”는 “A miser” (구두쇠), “A penny pincher” (짠돌이), “A cheapskate” (구두쇠), 또는 “A skinflint” (짠돌이)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재물을 쓰는 것에 몹시 인색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수전(守錢)은 “돈을 지키다”는 뜻이고, 노(奴)는 “종”을 의미하는데, 이 표현은 돈을 아끼는 데 집착하여, 재물에 종처럼 얽매여 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현대 속어에서는 짠돌이, 짠순이, 또는 자린고비와 같은 표현도 사용됩니다. 순우리말로는 “노랭이”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수전노(守錢奴)”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A miser (구두쇠)
- A penny pincher (짠돌이)
- A cheapskate (구두쇠)
- A skinflint (짠돌이)
- A miser (구두쇠)
“A miser”는 재물에 지나치게 인색한 사람을 지칭하는 가장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이 사람은 돈을 쓰는 것을 극도로 아끼고 절약하는 사람을 묘사합니다.
- “He was such a miser that he refused to spend money on anything, even if it was necessary.”
(그는 필요한 것조차 돈을 쓰지 않으려는 구두쇠였다.) - “A miser never enjoys the wealth they accumulate because they are too focused on saving.”
(구두쇠는 자신이 쌓은 재산을 즐길 수 없다. 너무 절약에만 집중하기 때문이다.) - “The miser was known for never giving anything away, not even to charity.”
(그 구두쇠는 기부는커녕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주는 일도 없기로 유명했다.)
- A penny pincher (짠돌이)
“A penny pincher”는 돈을 아끼고 절약하는 것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작은 금액에 집착하는 사람을 지칭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 “She’s such a penny pincher that she won’t even buy a cup of coffee unless it’s on sale.”
(그녀는 커피 한 잔도 세일하지 않으면 사지 않는 짠돌이다.) - “The penny pincher always looks for the cheapest option, no matter the quality.”
(그 짠돌이는 품질과 상관없이 항상 가장 저렴한 옵션을 찾는다.) - “While being a penny pincher might save money, it often leads to missed opportunities.”
(짠돌이가 되는 것이 돈을 절약할 수는 있지만, 종종 기회를 놓치게 된다.)
- A cheapskate (구두쇠)
“A cheapskate”는 돈을 쓰는 것을 지나치게 아끼고, 심지어 다른 사람들과의 거래에서조차 절약하려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때로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됩니다.
- “He’s such a cheapskate that he never pays for anything, always expecting others to foot the bill.”
(그는 모든 것을 아끼려 해서 항상 다른 사람들이 계산하도록 만든다.) - “The cheapskate was notorious for never tipping waiters or delivery drivers.”
(그 짠돌이는 웨이터나 배달 기사에게 팁을 주지 않기로 유명했다.) - “Being a cheapskate can hurt relationships, as people don’t appreciate constant money-saving tactics.”
(짠돌이 되는 것은 관계에 해를 끼칠 수 있다. 사람들은 끊임없는 절약 행동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 A skinflint (짠돌이)
“A skinflint”는 돈을 아끼는 것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조금 더 구어적인 표현입니다. 이 표현도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정당한 지출을 피하고 절약하려는 사람을 묘사합니다.
- “The skinflint wouldn’t even buy a proper gift for his wife on her birthday.”
(그 구두쇠는 아내 생일에 적절한 선물조차 사지 않았다.) - “No one wanted to work with the skinflint because he would never pay a fair price for anything.”
(아무도 그 구두쇠와 일하고 싶지 않았다. 그는 어떤 것에도 정당한 가격을 지불하지 않기 때문이다.) - “Being a skinflint can lead to frustration and resentment from others who feel taken advantage of.”
(구두쇠가 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이용당한다고 느끼게 되어 불만과 원망을 사게 된다.)
“수전노(守錢奴)”의 의미
“수전노(守錢奴)”는 재물을 쓰는 것에 몹시 인색한 사람을 가리키는 고사성어입니다. 수전(守錢)은 “돈을 지키다”는 뜻이고, 노(奴)는 “종”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돈을 아끼는 데 지나치게 집착하여, 재물에 종처럼 얽매여 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현대 속어에서는 짠돌이, 자린고비, 또는 “노랭이”와 같은 표현이 사용되며, 구두쇠의 성격을 가진 사람을 가리킵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