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이도종(掩耳盜鐘)”을 영어로?

“엄이도종(掩耳盜鐘)”은 “자신의 귀를 막고 방울(종)을 훔친다”는 의미로, 뻔한 수로 남을 속이려고 하는 어리석은 행위를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자기 눈앞에 명백히 드러난 사실을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숨기려는 어리석은 시도”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엄이도종”은 상황을 모르는 척하거나, 자신이 잘못하고 있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숨기려 하는 행동을 지적할 때 사용됩니다.


“엄이도종(掩耳盜鐘)”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1. “To deceive oneself with an obvious lie”
  2. “To bury your head in the sand”
  3. “To pretend not to see the obvious”

1. To deceive oneself with an obvious lie

이 표현은 “명백한 거짓말로 자신을 속이다”는 의미로, 상황을 무시하거나 뻔히 보이는 사실을 거짓으로 여기는 어리석은 행동을 나타냅니다. “엄이도종”의 본래 의미와 유사하게, 사람이 눈앞의 사실을 인정하지 않거나 감추려 하는 태도를 묘사합니다.

  • “He tried to deceive himself with an obvious lie, thinking no one would notice his mistakes.”
    (그는 자신이 저지른 실수를 아무도 모를 것이라고 생각하며 명백한 거짓말로 스스로를 속이려 했다.)
  • “By deceiving himself with an obvious lie, she avoided facing the consequences of her actions.”
    (그녀는 명백한 거짓말로 스스로를 속여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피하려 했다.)
  • “To deceive oneself with an obvious lie only leads to greater consequences later.”
    (명백한 거짓말로 자신을 속이는 것은 결국 더 큰 결과를 초래한다.)

2. To bury your head in the sand

“To bury your head in the sand”는 “자기 문제나 진실을 외면하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엄이도종”과 비슷하게, 문제나 사실을 무시하고 회피하려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자기가 처한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거나, 그 상황에 대해 인식하려 하지 않는 어리석음을 강조합니다.

  • “He buried his head in the sand instead of dealing with the problems that were right in front of him.”
    (그는 바로 앞에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대신, 그것들을 외면하고 머리를 모래에 파묻었다.)
  • “When faced with a challenge, some people choose to bury their head in the sand instead of confronting the truth.”
    (도전에 직면했을 때, 어떤 사람들은 진실을 직시하는 대신 문제를 외면한다.)
  • “Burying your head in the sand might give temporary relief, but the problem will only grow bigger.”
    (모래에 머리를 묻는 것은 잠시 동안은 안도감을 줄지 모르지만, 문제는 결국 더 커지게 된다.)

3. To pretend not to see the obvious

“To pretend not to see the obvious”는 “분명한 것을 모른 척하다”라는 의미로, 고의적으로 명백한 사실을 외면하려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엄이도종”에서의 “자기 귀를 막고 종을 훔친다”는 행동과 유사하게, 이 표현은 사람이 분명히 보이는 상황을 외면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강조합니다.

  • “She pretended not to see the obvious warning signs, hoping that things would get better on their own.”
    (그녀는 상황이 저절로 좋아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분명한 경고 신호를 모른 척했다.)
  • “He kept pretending not to see the obvious mistakes he was making, which only worsened the situation.”
    (그는 자신이 저지르고 있는 분명한 실수를 모른 척하면서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 “Pretending not to see the obvious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is just a way to avoid responsibility.”
    (관계에서 명백한 문제를 모른 척하는 것은 책임을 회피하려는 방법일 뿐이다.)

“엄이도종(掩耳盜鐘)”은 “자기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의미로, 고의로 명백한 사실을 무시하거나 숨기려는 어리석은 행동을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 영어로는 “To deceive oneself with an obvious lie,” “To bury your head in the sand,” 또는 “To pretend not to see the obvious”와 같은 표현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