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탁악세(五濁惡世)”를 영어로?

“오탁악세(五濁惡世)”는 불경에서 나오는 표현으로, 온갖 불법적이고 더러운 것으로 가득 찬 죄악의 세상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불교의 교리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간 사회와 세상이 점차 불경스럽고 부패한 상태로 변해간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오탁악세”는 다섯 가지 종류의 더러움(탁)과 악한 세상(악세)을 나타내며, 이 다섯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겁탁(劫濁): 시대의 더러움 — 시대가 부패하고 악한 상태에 빠짐.
  2. 견탁(見濁): 사상과 견해의 더러움 — 사람들이 잘못된 사상이나 견해를 가짐.
  3. 번뇌탁(煩惱濁): 마음의 더러움 — 탐욕, 분노, 어리석음 등으로 마음이 더러워짐.
  4. 중생탁(衆生濁): 중생의 몸과 마음의 더러움 — 사람들의 몸과 마음이 부패하여 불안정하고 불행함.
  5. 명탁(命濁): 인간의 수명의 더러움 — 인간의 수명이 짧아지고, 고통과 괴로움이 많아짐.

“오탁악세(五濁惡世)”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1. “The Five Defilements of the World”
  2. “A world filled with impurities and evils”
  3. “A corrupt and degenerate world”

1. “The Five Defilements of the World”

“The Five Defilements of the World”는 불경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 더러움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는 오탁악세의 본래 의미를 잘 전달합니다.

  • “In Buddhism, the Five Defilements of the World describe the impurities that afflict both the world and human beings.”
    (불교에서는 오탁악세가 세상과 인간을 괴롭히는 다섯 가지 더러움을 설명한다.)
  • “The Five Defilements of the World indicate how the human mind and the environment have become corrupted over time.”
    (오탁악세는 시간이 지나면서 인간의 마음과 환경이 어떻게 부패했는지를 나타낸다.)
  • “The Buddha taught that one must overcome the Five Defilements of the World to achieve enlightenment.”
    (부처님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오탁악세를 극복해야 한다고 가르치셨다.)

2. “A world filled with impurities and evils”

“A world filled with impurities and evils”는 세상이 불경스럽고 부패한 상태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표현입니다.

  • “The world today seems to be a place filled with impurities and evils, making it harder to find peace.”
    (오늘날의 세상은 불경스럽고 부패한 곳처럼 보이며, 평화를 찾기 어려워졌다.)
  • “In Buddhist teachings, we are warned that this world is filled with impurities and evils that hinder our spiritual growth.”
    (불교 교리에서는 이 세상이 우리의 영적 성장을 방해하는 불경스러운 것들로 가득 차 있다고 경고한다.)
  • “The Five Defilements describe a world filled with impurities and evils, where wisdom and virtue are rare.”
    (오탁악세는 지혜와 미덕이 드문, 불경스럽고 악한 것들로 가득 찬 세상을 묘사한다.)

3. “A corrupt and degenerate world”

“A corrupt and degenerate world”는 오탁악세가 표현하는 도덕적 부패와 퇴폐적인 상태를 강조한 표현입니다.

  • “In many religious traditions, the world is seen as a corrupt and degenerate place, where virtue is hard to find.”
    (많은 종교 전통에서 세상은 도덕적으로 부패하고 퇴폐적인 장소로 여겨지며, 미덕을 찾기 힘들다.)
  • “The Buddha’s teachings emphasize how to transcend the corrupt and degenerate world through mindfulness and meditation.”
    (부처님의 가르침은 마음챙김과 명상을 통해 부패하고 퇴폐적인 세상을 초월하는 방법을 강조한다.)
  • “The world described in the Five Defilements is one that is corrupt and degenerate, where human beings are trapped in suffering.”
    (오탁악세에서 묘사된 세상은 부패하고 퇴폐적인 세상으로, 인간은 고통에 갇혀 있다.)

“오탁악세(五濁惡世)”는 불경에서 말하는 부패하고 불경스러운 세상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영어로는 “The Five Defilements of the World”, “A world filled with impurities and evils”, “A corrupt and degenerate world”와 같은 표현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