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리혜계(甕裏醯鷄)”는 “항아리 안의 식혜 닭”이라는 의미로, 식견이 좁고 세상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장자의 전자방편(田子方篇)에 등장하며, 좁은 공간에서 살고 있는 닭이 세상의 넓이를 알지 못하는 것처럼, 너무 한정된 환경에서만 경험을 쌓은 사람을 뜻합니다. 이 표현은 자기 경험에만 의존하여 넓은 세상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옹리혜계(甕裏醯鷄)”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A frog in a well”
- “To have a narrow view”
- “A person with limited experience”
1. “A frog in a well”
“A frog in a well”는 “우물 안 개구리”라는 표현으로, 좁은 곳에만 갇혀 세상의 넓이를 모르는 사람을 비유합니다. 옹리혜계가 뜻하는 좁은 시야와 유사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 “He thinks he knows everything, but he’s just a frog in a well, unaware of the larger world outside.”
(그는 자신이 모든 걸 안다고 생각하지만, 세상의 넓이를 모르는 우물 안 개구리일 뿐이다.) - “Stop being a frog in a well. There’s a whole world out there waiting for you to explore.”
(우물 안 개구리처럼 생각하지 마. 세상에는 네가 탐험할 수 있는 넓은 세계가 기다리고 있다.)
2. “To have a narrow view”
“To have a narrow view”는 “좁은 시야를 갖다”라는 표현으로, 세상의 넓은 가능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만의 좁은 경험에만 의존하는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His narrow view of the world makes it hard for him to adapt to new ideas.”
(그는 세상에 대한 좁은 시야 때문에 새로운 아이디어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If you only look at things from your own perspective, you’re likely to have a narrow view of the situation.”
(자기 관점에서만 바라본다면 상황을 좁게 이해할 가능성이 크다.)
3. “A person with limited experience”
“A person with limited experience”는 “경험이 제한된 사람”을 의미하며, 세상 경험이 부족하고 시야가 좁은 사람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옹리혜계의 의미를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 “He is a person with limited experience, and it shows in the way he judges others.”
(그는 경험이 제한된 사람이라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방식에서 그것이 드러난다.) - “Don’t be a person with limited experience. Open your mind and try to learn more.”
(경험이 제한된 사람이 되지 마. 마음을 열고 더 많은 것을 배워보아라.)
“옹리혜계(甕裏醯鷄)”는 좁은 시야를 가진 사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영어로는 “A frog in a well”, “To have a narrow view”, “A person with limited experience”와 같은 표현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