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곡봉타(欲哭逢打)”를 영어로?

“욕곡봉타(欲哭逢打)”는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한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불만을 품고 있는 사람을 더욱 화나게 하거나 그 사람의 감정을 자극하는 행동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울고 싶자 때린다”와 같은 속담이 이와 유사한 의미를 가집니다. 즉, 이미 힘든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에게 더 큰 고통을 주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출전은 《금오신화(金吳新話)》, 조선시대의 고전 문학 작품에서 유래한 말로, 불만을 가진 사람을 더 자극하거나 괴롭히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욕곡봉타(欲哭逢打)”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1. “Kick a man when he’s down.”
  2. “Add fuel to the fire.”
  3. “Strike a person who is already in distress.”

1. “Kick a man when he’s down.”

“Kick a man when he’s down”은 이미 힘든 상황에 있는 사람에게 더 큰 고통을 주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욕곡봉타의 핵심적인 뜻을 잘 전달하는 영어 표현입니다.

  • “She was already upset, and then he said something mean, really kicking her when she’s down.”
    (그녀는 이미 화가 나 있었고, 그가 악의적으로 말하면서 정말 그녀가 힘든 상황에 있을 때 때렸다.)
  • “Instead of helping him, they all seemed to be kicking him when he’s down, making him feel worse about the situation.”
    (그를 도와주는 대신, 모두가 그를 힘든 상황에서 더 괴롭히는 것처럼 보였고, 그는 상황에 대해 더 나쁘게 느꼈다.)
  • “The media has a tendency to kick a man when he’s down, always piling on when things go wrong.”
    (언론은 힘든 상황에 있는 사람을 더 괴롭히는 경향이 있으며, 일이 잘못되면 더 큰 비난을 쏟아낸다.)

2. “Add fuel to the fire.”

“Add fuel to the fire”는 이미 문제가 있는 상황에 더 큰 문제를 일으키거나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행동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욕곡봉타와 같은 맥락으로 사용됩니다.

  • “He was upset about the delay, and when she started complaining, it was like adding fuel to the fire.”
    (그는 지연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었고, 그녀가 불평을 시작했을 때 그것은 마치 불에 기름을 부은 것 같았다.)
  • “The argument between the two only got worse after the manager’s rude comment, adding fuel to the fire.”
    (두 사람 사이의 논쟁은 관리자님의 무례한 말이 나와서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 “Instead of calming things down, his response just ended up adding fuel to the fire, making the situation even worse.”
    (상황을 진정시키기보다는 그의 반응은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3. “Strike a person who is already in distress.”

“Strike a person who is already in distress”는 이미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더욱 괴롭히는 행동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 “She was having a rough day, and then her boss scolded her, really striking a person who is already in distress.”
    (그녀는 힘든 하루를 보내고 있었고, 그때 그녀의 상사가 꾸짖었는데, 그것은 정말로 이미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더 괴롭히는 일이었다.)
  • “Instead of offering support, he was striking a person who is already in distress, making her feel even worse.”
    (그는 도움을 주기보다는 이미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더 괴롭히는 태도를 취했다, 그래서 그녀는 더 나쁘게 느꼈다.)
  • “By telling him all his failures at that moment, they were striking a person who is already in distress.”
    (그 시점에서 그에게 모든 실패를 이야기하는 것은 이미 고통받고 있는 사람을 더 괴롭히는 일이었다.)

“욕곡봉타(欲哭逢打)”는 불평을 품고 있는 사람을 선동하거나 더 고통스럽게 만드는 상황을 표현하는 고사성어로, 영어로는 “Kick a man when he’s down”, “Add fuel to the fire”, “Strike a person who is already in distress”와 같은 표현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상황을 악화시키거나 고통을 더하는 행동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