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무언(有口無言)”은 변명할 말이 없거나 할 말이 없는 상황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이 말은 어떤 상황에서 말문이 막히고, 어떤 주장이나 항변을 할 수 없을 때 사용됩니다. 사람이나 상황이 너무 억울하거나, 논리적으로 반박할 수 없는 경우에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출전은 《양혜왕 장구 상(梁惠王章句上)》으로, 이 말은 말을 할 수 있는 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말이 없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성어는 논리적으로 말할 수 없는 상태나 반박할 수 없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성경의 욥기 32:15와 마태오 복음서 22:12에서도 사용된 표현으로, 두 성경 구절 모두 입을 다물고 말할 수 없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유구무언(有口無言)”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At a loss for words.”
- “Speechless.”
- “Left without a response.”
1. “At a loss for words.”
“At a loss for words”는 말문이 막혀 무엇을 말할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한 것입니다. 이는 어떤 상황에서 할 말이 없어 당황한 상태나 대답할 수 없을 때 사용됩니다. 영어권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 자기 변명이나 반박이 불가능한 상태를 묘사합니다.
- “When he heard the shocking news, he was at a loss for words.”
(그는 충격적인 소식을 들었을 때 말문이 막혔다.) - “She was at a loss for words after hearing the compliment about her work.”
(그녀는 자신의 일에 대한 칭찬을 듣고 말이 나오지 않았다.) - “I was at a loss for words when they asked me about the incident.”
(그들이 사건에 대해 나에게 물었을 때 나는 대답할 말을 찾을 수 없었다.)
2. “Speechless.”
“Speechless”는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로, 놀라움, 당혹감, 부끄러움 등의 이유로 말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유구무언과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집니다.
- “The revelation left everyone speechless.”
(그 폭로는 모두를 말문이 막히게 만들었다.) - “He was speechless after hearing the unexpected proposal.”
(그는 예상치 못한 제안을 듣고 말문이 막혔다.) - “She was speechless when she found out she had won the award.”
(그녀는 자신이 상을 받았다는 사실에 말을 잃었다.)
3. “Left without a response.”
“Left without a response”는 대답을 할 수 없거나 아무런 반응을 할 수 없는 상태를 묘사합니다. 이 표현은 누군가가 반박하거나 변명할 수 없는 상황에 적합합니다.
- “When asked about the failure, he was left without a response.”
(실패에 대해 물었을 때 그는 답변을 할 수 없었다.) - “She was left without a response after hearing the tough question.”
(그녀는 어려운 질문을 듣고 대답할 말을 잃었다.) - “The politician was left without a response to the allegations.”
(그 정치인은 그 혐의에 대해 반박할 말을 하지 못했다.)
“유구무언(有口無言)”의 의미
“유구무언(有口無言)”은 변명하거나 반박할 말이 전혀 없을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는 말할 수 있는 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 말이 없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대개 논리적인 이유나 변명이 부족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책임을 회피할 수 없는 상황이나 답변을 하지 못하는 순간을 묘사합니다.
영어로는 “At a loss for words”, “Speechless”, “Left without a response”와 같은 표현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