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독존(唯我獨尊)”은 “오직 나만 존귀하다”는 의미로, 자신이 모든 것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 존엄하다는 자만한 태도를 표현하는 성어입니다.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은 이와 같은 의미를 더 강조하는 표현으로, 하늘과 땅 위에서 나만이 가장 존귀하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에 나오는 말로, 부처의 자비와 위엄을 강조하는 구절에서 유래했지만, 후에 자기 자신을 과도하게 내세우는 자만적인 태도를 비판적으로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부처가 자신을 최고로 존귀하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깨달음과 위엄을 나타내는 말로 본래는 긍정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자아 도취적이고 오만한 태도를 나타내는 데 자주 쓰입니다.
“유아독존(唯我獨尊)” 또는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 “I alone am exalted above all.”
- “There is no one greater than me, in heaven or on earth.”
- “I am supreme above all beings in the world.”
1. “I alone am exalted above all.”
“I alone am exalted above all”는 “나만이 모든 것보다 높고 존귀하다”는 의미를 간결하게 표현한 방법입니다. 이 표현은 자만이나 오만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He walked into the room with the attitude, ‘I alone am exalted above all,’ making everyone uncomfortable.”
(그는 ‘나만이 모든 것보다 높고 존귀하다’는 태도로 방에 들어왔고, 그것은 모두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 “The king declared, ‘I alone am exalted above all,’ ignoring the counsel of his advisors.”
(왕은 ‘나만이 모든 것보다 높고 존귀하다’고 선언하며, 그의 고문들의 충고를 무시했다.) - “She acted as if ‘I alone am exalted above all,’ and it alienated her from her friends.”
(그녀는 ‘나만이 모든 것보다 높고 존귀하다’는 태도로 행동했고, 그것이 그녀를 친구들로부터 멀어지게 만들었다.)
2. “There is no one greater than me, in heaven or on earth.”
“There is no one greater than me, in heaven or on earth”는 “하늘과 땅 위에서 나보다 더 위대한 존재는 없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천상천하유아독존”의 의미를 직역하여 자신을 가장 위대하게 생각하는 태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He often said, ‘There is no one greater than me, in heaven or on earth,’ showing his extreme arrogance.”
(그는 종종 ‘하늘과 땅 위에서 나보다 더 위대한 존재는 없다’고 말하며, 그의 극단적인 자만을 보였다.) - “The emperor ruled with the belief that there is no one greater than him, in heaven or on earth.”
(그 황제는 ‘하늘과 땅 위에서 나보다 더 위대한 존재는 없다’는 신념으로 통치했다.) - “Her attitude was, ‘There is no one greater than me, in heaven or on earth,’ which made it hard for anyone to work with her.”
(그녀의 태도는 ‘하늘과 땅 위에서 나보다 더 위대한 존재는 없다’였고, 그로 인해 아무도 그녀와 일하기 어려웠다.)
3. “I am supreme above all beings in the world.”
“I am supreme above all beings in the world”는 “세상 모든 존재들 중에서 나는 가장 위대하다”는 뜻으로, 자신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태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His claim that ‘I am supreme above all beings in the world’ was met with criticism from his colleagues.”
(그는 ‘세상 모든 존재들 중에서 나는 가장 위대하다’는 주장을 했고, 동료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 “She behaved as though ‘I am supreme above all beings in the world,’ which made her unpopular among her peers.”
(그녀는 ‘세상 모든 존재들 중에서 나는 가장 위대하다’는 태도로 행동했고, 그것이 동료들 사이에서 그녀를 인기가 없게 만들었다.) - “The dictator ruled with the belief that ‘I am supreme above all beings in the world,’ disregarding the well-being of his people.”
(그 독재자는 ‘세상 모든 존재들 중에서 나는 가장 위대하다’는 신념으로 통치하며, 그의 국민들의 복지를 무시했다.)
“유아독존(唯我獨尊)”의 의미
“유아독존(唯我獨尊)” 또는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은 자신의 위대함과 존엄함을 과시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성어입니다. 이 성어는 원래 불교의 경전에서 부처님의 위엄을 표현하는 구절에서 유래했지만, 자기 중심적이고 자만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의미로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자신을 최고로 여기며, 다른 사람이나 존재들을 경시하는 태도를 비판하거나 경고하는 맥락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영어로는 “I alone am exalted above all,” “There is no one greater than me, in heaven or on earth,” “I am supreme above all beings in the world” 등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과도한 자만과 오만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