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지은(再造之恩)”은 나라를 다시 만들어준 은혜, 또는 거의 망하게 된 것을 구해준 은혜를 뜻하는 성어입니다. 이 성어는 주로 임진왜란(1592-1598) 당시 명나라가 조선을 구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한 역사적 사건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조선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을 때 명나라의 도움으로 위기를 극복한 상황을 묘사하는 표현입니다.
“재조지은(再造之恩)”의 영어 표현 방법
- “Grace of restoration”
- “The favor of saving a nation”
- “The grace of a second birth”
- “Grace of restoration”
“Grace of restoration”은 나라를 재건하거나 구해준 은혜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나라가 다시 살아날 수 있게 된 은혜를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의 구원을 은유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The grace of restoration that the Ming Empire showed to Joseo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s still remembered by the people.”
(명나라가 일본의 침략 중 조선에 보여준 재건의 은혜는 지금까지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다.) - “After the invasion, the grace of restoration from the Ming was the salvation that allowed the kingdom to recover.”
(침략 후, 명나라의 재건의 은혜는 왕국이 회복할 수 있도록 해준 구원이었다.)
- “The favor of saving a nation”
“The favor of saving a nation”은 나라를 구해준 은혜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위기 상황에서 나라를 구한 도움을 뜻합니다. 특히 임진왜란에서 명나라의 파병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적합합니다.
- “The favor of saving a nation was what enabled Joseon to stand strong against the Japanese forces.”
(조선이 일본 군에 맞서 강하게 서게 해준 것은 나라를 구한 은혜였다.) - “The Ming Empire’s favor of saving a nation was instrumental in ensuring the survival of the Joseon Dynasty.”
(명나라의 나라를 구해준 은혜는 조선 왕조의 생존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The grace of a second birth”
“The grace of a second birth”는 재생의 은혜, 즉 새로운 삶을 얻은 것처럼 다시 태어난 은혜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나라가 다시 살아난 것처럼 새로운 기회를 얻은 상황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Joseon’s recovery from near destruction was due to the grace of a second birth brought by the Ming forces.”
(조선의 거의 멸망한 상태에서 회복은 명나라 군대가 가져다 준 두 번째 탄생의 은혜 덕분이었다.) - “The grace of a second birth after the Japanese invasion allowed the kingdom to rebuild and thrive once more.”
(일본의 침략 후, 두 번째 탄생의 은혜는 왕국이 재건되고 다시 번영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재조지은(再造之恩)”의 의미
“재조지은(再造之恩)”은 나라가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을 때 그 나라를 구해준 은혜를 뜻하는 성어입니다. 이 성어는 임진왜란 중에 명나라가 조선에 군대를 파병하여 조선을 구해준 역사적인 사건을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재조지은은 다시 살아날 수 있도록 해준 은혜, 즉 위기를 넘겨준 구원의 은혜를 강조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