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朝三暮四)”를 영어로?

“조삼모사(朝三暮四)”는 어떤 일을 바꾸지 않고 말만 다르게 해서 사람을 속이는 것을 의미하는 성어입니다. 원래는 속임수나 변덕스러운 행동을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의 유래는 고대 중국의 이야기에서 비롯되었으며,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말이 실제로는 의미가 달랐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이 속임수의 목적은 사람을 혼란시키고, 큰 차이 없는 변화를 과장되게 말하는 것입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영어 표현 방법

  1. “A trick of changing the words but not the substance.”
  2. “To deceive by changing the name but not the reality.”
  3. “Promising one thing in the morning and another in the evening, without real change.”

  1. “A trick of changing the words but not the substance.”

“A trick of changing the words but not the substance”는 표면적인 변화만을 강조하며, 실제 내용에는 변화가 없는 속임수를 설명하는 표현입니다. 조삼모사는 실제로는 변하지 않는데, 말만 다르게 해서 사람들을 속이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The politician’s promises were nothing but a trick of changing the words but not the substance, fooling the public.” (그 정치인의 약속은 말만 바꾸고 실제 내용에는 변화가 없는 속임수였으며, 대중을 속였다.)
  • “He was criticized for using a trick of changing the words but not the substance in his speeches.” (그는 연설에서 말만 바꾸고 실제 내용에는 변화가 없는 속임수를 사용한 것으로 비판을 받았다.)

  1. “To deceive by changing the name but not the reality.”

“To deceive by changing the name but not the reality”는 이름을 바꾸어 말하지만, 실제 내용은 변하지 않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조삼모사의 핵심 의미는 실제 변화가 없으면서 그 변화를 과장되게 말하거나, 속여서 사람들을 혼란시키는 것입니다.

  • “The company tried to market the same product in a new package, but it was just to deceive by changing the name but not the reality.” (그 회사는 같은 제품을 새로운 포장으로 마케팅하려 했지만, 그것은 단지 이름을 바꾸고 실제 내용은 변하지 않은 속임수였다.)
  • “He was skilled at deceiving by changing the name but not the reality, making promises that were nothing more than illusions.” (그는 이름을 바꾸고 실제 내용은 변하지 않은 속임수를 잘 사용하여, 실체가 없는 약속들을 했다.)

  1. “Promising one thing in the morning and another in the evening, without real change.”

“Promising one thing in the morning and another in the evening, without real change”는 아침과 저녁에 다른 약속을 하여 실질적인 변화 없이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상황을 설명하는 표현입니다. 이는 조삼모사에서 사람들을 속이기 위한 행동을 묘사합니다.

  • “The manager’s promises were typical of promising one thing in the morning and another in the evening, without real change, frustrating his employees.” (그 관리자의 약속은 아침에 하나, 저녁에 다른 것을 약속하고 실제 변화 없이 직원들을 좌절시켰다.)
  • “The student kept promising one thing in the morning and another in the evening, but never delivered on his commitments.” (그 학생은 아침에 하나, 저녁에 다른 것을 약속하고, 결코 자신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의미

“조삼모사(朝三暮四)”는 겉으로만 변화를 주고 실질적인 변화가 없는 속임수를 뜻하는 성어입니다. 이 성어는 말을 바꾸거나 약속을 번복하면서 실제 내용은 바뀌지 않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며, 사람들을 속이려는 태도를 경계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조삼모사속임수의 전형적인 예로, 사람을 속이고자 할 때 사용하는 행동을 설명하는 말로 종종 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