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악악(周舍惡惡)”은 옳지 않은 일에 대해 목숨을 걸고라도 반대하고 간언하는 사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자신의 군주나 상관에게 충성을 다하면서도, 잘못된 일을 용납하지 않고 강하게 반대하는 자세를 강조합니다. 출전은 이한(李翰)이 지은《몽구(夢龜)》에서 유래하며, 춘추시대 진나라의 조웅(趙雄)의 가신이었던 조사(周舍)가 보여준 충성심과 정의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악악(惡惡)은 시끄럽게 “안 됩니다”라고 반복하는 모양을 나타내며, 잘못된 일을 바로잡으려는 결연한 태도를 표현합니다.
“주사악악(周舍惡惡)”의 영어 표현 방법
- “To vehemently oppose wrongdoing, even at the cost of one’s life.”
- “To strongly protest against an unjust act.”
- “To boldly object to an immoral act, no matter the consequences.”
- “To vehemently oppose wrongdoing, even at the cost of one’s life.”
“To vehemently oppose wrongdoing, even at the cost of one’s life”는 옳지 않은 일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고, 그 대가를 치를 준비가 된 태도를 나타냅니다.
- “The general was known to vehemently oppose wrongdoing, even at the cost of his life, standing firm against unjust orders.” (그 장군은 옳지 않은 일을 강력히 반대하며, 자신의 목숨을 걸고서라도 부당한 명령에 맞섰다.)
- “He lived by the principle of vehemently opposing wrongdoing, even at the cost of his life, always speaking out against injustice.” (그는 옳지 않은 일을 강력히 반대하며, 자신의 목숨을 걸고서라도 항상 불의를 외쳤다.)
- “To strongly protest against an unjust act.”
“To strongly protest against an unjust act”는 불합리하거나 부당한 행동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는 태도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The advisor was known to strongly protest against an unjust act, regardless of the consequences.” (그 고문은 불합리한 행동에 강력히 반대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결과에 상관없이.)
- “He has always been willing to strongly protest against an unjust act, no matter how dangerous it might be.” (그는 항상 불합리한 행동에 강력히 반대할 준비가 되어 있었고, 그것이 얼마나 위험할지라도.)
- “To boldly object to an immoral act, no matter the consequences.”
“To boldly object to an immoral act, no matter the consequences”는 부도덕한 행동에 대해 과감하게 반대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 “As a trusted advisor, he would boldly object to an immoral act, regardless of the risks involved.” (신뢰받는 고문으로서 그는 부도덕한 행동에 과감하게 반대할 수 있었다, 그것에 따르는 위험이 무엇이든 간에.)
- “His dedication to justice led him to boldly object to an immoral act, without worrying about the repercussions.” (그는 정의에 대한 헌신으로 부도덕한 행동에 과감하게 반대했다, 결과가 무엇이든 간에.)
“주사악악(周舍惡惡)”의 의미
“주사악악(周舍惡惡)”은 자신의 군주에게 충성하면서도 잘못된 일에는 목숨을 걸고 반대하는 자세를 강조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성어는 진나라 조웅(趙雄)의 가신 조사(周舍)가 자신의 군주에게 충성을 다하며, 잘못된 일을 강력히 반대했던 일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악악(惡惡)은 “안 됩니다”라는 말을 시끄럽게 반복하는 모양새로, 그가 부당한 일에 대해 얼마나 강하게 반대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주사악악은 옳지 않은 일에 대해 당당히 목소리를 내고, 정당한 것을 위해 싸우는 용기와 결단력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