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삼살인(曾參殺人)”은 사실이 아닌 이야기도 여러 번 반복되면 사람들이 믿게 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터무니없는 말이나 허구의 이야기가 반복되면 그 말이 진실인 것처럼 받아들여진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출전은 논어에 등장하는 증삼(曾參)의 일화에서 유래하며, 여러 번의 반복으로 사람들이 믿게 되는 상황을 경고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증삼살인(曾參殺人)”의 영어 표현 방법
- “Repetition makes a lie believable.”
- “A lie repeated becomes the truth.”
- “Even falsehoods, when repeated enough, are believed.”
- “Repetition makes a lie believable.”
“Repetition makes a lie believable”는 거짓말도 반복하면 믿을 수밖에 없다는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증삼살인은 말이 반복되면 진실처럼 여겨지게 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 “The politician’s promises were repeated so often that the public began to believe them. Repetition makes a lie believable.” (그 정치인의 약속은 너무 자주 반복되었고, 대중은 그것을 믿기 시작했다. 거짓말도 반복하면 믿을 수밖에 없다.)
- “People started to believe the rumors because repetition makes a lie believable.” (사람들은 그 소문을 믿기 시작했다. 거짓말도 반복하면 믿을 수밖에 없다.)
- “A lie repeated becomes the truth.”
“A lie repeated becomes the truth”는 반복적인 거짓말이 결국 사람들에게 진실처럼 받아들여진다는 의미를 전합니다. 증삼살인은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이야기가 사실처럼 여겨지는 현상을 경고하는 성어입니다.
- “Despite the initial doubt, the lie was repeated so often that it became widely accepted. A lie repeated becomes the truth.” (처음에는 의심이 있었지만, 그 거짓말은 너무 자주 반복되어 널리 받아들여졌다. 반복되는 거짓말이 결국 진실이 된다.)
- “The company’s repeated claims about their product eventually led consumers to believe them. A lie repeated becomes the truth.” (회사는 자사의 제품에 대해 반복적인 주장을 했고, 결국 소비자들은 그것을 믿게 되었다. 반복되는 거짓말이 결국 진실이 된다.)
- “Even falsehoods, when repeated enough, are believed.”
“Even falsehoods, when repeated enough, are believed”는 아무리 거짓말이라도 반복하면 사람들은 그것을 믿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증삼살인의 교훈과 같은 맥락에서 거짓말의 반복적 영향력을 강조합니다.
- “The fabricated story became accepted by everyone. Even falsehoods, when repeated enough, are believed.” (그 허구의 이야기는 모두에게 받아들여졌다. 아무리 거짓말이라도 반복하면 사람들은 그것을 믿게 된다.)
- “Initially, no one believed the false claim, but even falsehoods, when repeated enough, are believed.” (처음에는 아무도 그 거짓 주장을 믿지 않았지만, 아무리 거짓말이라도 반복하면 사람들은 그것을 믿게 된다.)
“증삼살인(曾參殺人)”의 의미
“증삼살인(曾參殺人)”은 거짓된 말이나 터무니없는 이야기도 반복적으로 말하면 사람들은 그것을 믿게 된다는 교훈을 전달하는 성어입니다. 증삼은 논어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가 자주 말한 거짓말이 사람들에게 진실로 받아들여졌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성어는 정보의 반복적 전달이 진실로 오해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