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천지한(徹天之恨)”을 영어로?

“철천지한(徹天之恨)”은 하늘을 뚫을 만큼 깊고 큰 원한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는 매우 깊은 원망이나 복수심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그 원한이 하늘을 뚫고 드러날 정도로 크다는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극단적인 원한을 가지고 있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이 고사성어는 깊은 원한복수의 감정을 강조하는데 사용됩니다.


“철천지한(徹天之恨)”의 영어 표현 방법

  1. “A hatred that pierces the heavens.”
  2. “A grudge as deep as the sky.”
  3. “A resentment that reaches the heavens.”

1. “A hatred that pierces the heavens”

이 표현은 “철천지한”을 “하늘을 뚫을 만큼 깊은 증오”라는 의미로 번역한 것입니다. 증오복수의 감정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His betrayal created a hatred that pierces the heavens, one that can never be forgiven.” (그의 배신은 하늘을 뚫을 만큼 깊은 증오를 만들어냈으며, 결코 용서될 수 없다.)
  • “The resentment between them was a hatred that pierced the heavens, impossible to reconcile.” (그들 사이의 원한은 하늘을 뚫을 만큼 깊어서, 화해할 수 없었다.)
  • “She carried a hatred that pierced the heavens, and it consumed her every thought.” (그녀는 하늘을 뚫을 만큼 깊은 증오를 품고 있었고, 그것이 그녀의 모든 생각을 집어삼켰다.)

2. “A grudge as deep as the sky”

“A grudge as deep as the sky”는 “철천지한”을 “하늘만큼 깊은 원한”으로 번역한 표현입니다. 원한이 깊고 끝이 없음을 강조합니다.

  • “His grudge was as deep as the sky, lasting for years without resolution.” (그의 원한은 하늘만큼 깊었고, 수년 동안 해결되지 않았다.)
  • “The grudge between the two families was as deep as the sky, with no end in sight.” (두 가문 사이의 원한은 하늘만큼 깊어서 끝이 보이지 않았다.)
  • “She bore a grudge as deep as the sky, and it clouded her heart.” (그녀는 하늘만큼 깊은 원한을 품고 있었고, 그것이 그녀의 마음을 흐리게 했다.)

3. “A resentment that reaches the heavens”

“A resentment that reaches the heavens”는 “철천지한”을 “하늘에 닿을 만큼 깊은 원망”으로 번역한 표현입니다. 원망이 극단적이고, 시간이 지나도 풀리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 “The resentment between them reached the heavens, never to be forgiven.” (그들 사이의 원망은 하늘에 닿을 만큼 깊어서, 결코 용서되지 않을 것이다.)
  • “His actions caused a resentment that reached the heavens, with no way to make amends.” (그의 행동은 하늘에 닿을 만큼 깊은 원망을 초래했으며, 이제는 보상할 방법이 없다.)
  • “The resentment between the two kingdoms was a force that reached the heavens, driving them to war.” (두 왕국 사이의 원망은 하늘에 닿을 만큼 강력하여, 그들을 전쟁으로 몰아갔다.)

“철천지한(徹天之恨)”의 의미

“철천지한”은 “하늘을 뚫을 정도로 큰 원한”이라는 뜻으로, 그 크고 깊은 원한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배신, 극단적인 복수심, 또는 오래된 원한이 쌓여 발생한 감정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복수원한의 감정을 강조하며, 이러한 감정이 깊고 크기 때문에 해결되기 어렵고, 매우 강력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