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급부(樵童汲婦)”는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를 의미하는 고사성어로, 평범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사회적 지위가 낮거나, 특별히 주목받지 않는 평범한 사람들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초동(樵童)”은 땔나무를 하는 어린이, “급부(汲婦)”는 물을 긷는 여성을 의미하여, 이들을 통해 평범하고 소박한 일상 생활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그려냅니다.
“초동급부(樵童汲婦)”의 영어 표현 방법
- “Common people.”
- “Ordinary folk.”
- “Humble laborers.”
1. “Common people”
“Common people”는 일반적인 사람들, 평범한 이들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초동급부”의 뜻과 가장 잘 맞는 번역입니다. 사회적 지위나 특별한 특징이 없는 사람들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The town was built by the hard work of the common people, who toiled day and night.” (그 마을은 날 밤으로 열심히 일한 평범한 사람들의 노력으로 지어졌다.)
- “He comes from humble origins, like the common people who work the land.” (그는 땅을 일구는 평범한 사람들과 같은 겸손한 출신이다.)
- “The success of the country rests on the contributions of common people, not just the elite.” (그 나라의 성공은 엘리트들만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의 기여에 달려 있다.)
2. “Ordinary folk”
“Ordinary folk”는 평범한 사람들, 보통 사람들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초동급부”는 특별하지 않고, 일상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므로 이 표현이 적합합니다.
- “The story of the ordinary folk who built the city is one of perseverance and hope.” (도시를 세운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인내와 희망의 이야기이다.)
- “She comes from ordinary folk, but she worked hard to change her life.” (그녀는 평범한 가정에서 자랐지만, 그녀는 자신의 삶을 바꾸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
- “The government should not forget the needs of ordinary folk when making policy decisions.” (정부는 정책 결정을 할 때 평범한 사람들의 필요를 잊지 말아야 한다.)
3. “Humble laborers”
“Humble laborers”는 소박한 노동자들, 겸손한 일꾼들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초동급부”가 지닌 겸손하고 평범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이미지를 잘 나타냅니다.
- “The country owes much of its progress to the humble laborers who worked tirelessly in the fields.” (그 나라는 끊임없이 들에서 일한 겸손한 노동자들에게 많은 발전을 의지한다.)
- “Humble laborers like these are often overlooked, but their work is essential for the community.” (이러한 겸손한 노동자들은 종종 간과되지만, 그들의 일은 공동체에 필수적이다.)
- “Despite being humble laborers, they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society.” (비록 그들은 겸손한 노동자들이었지만, 그들은 사회에 중요한 변화를 일으켰다.)
“초동급부(樵童汲婦)”의 의미
“초동급부”는 특별하지 않거나 두드러지지 않는 평범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고사성어로, 일상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에 대한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는 각기 단순하고 소박한 일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을 상징합니다. 이 고사성어는 사회적 지위나 특권이 없는 사람들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