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고용’만 보면 경제가 보인다
경기 흐름을 가장 빠르고 민감하게 반영하는 요소 중 하나가 노동시장입니다. 사람들이 쉽게 일자리를 구할 수 있고, 자주 이직하며, 기업이 적극적으로 사람을 뽑고 있다면 이는 경기가 좋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이러한 일자리의 수요와 노동의 이동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미국 경제지표가 바로 JOLTs(잡 오프닝스 앤 레이버 터노버 서베이)입니다.
JOLTs는 ‘실제 채용된 사람의 수’보다 한 발 앞서, “일자리가 얼마나 많이 열려 있는지”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회사를 떠나는지” 등을 추적하기 때문에, 고용시장의 온도를 감지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2. JOLTs란 무엇인가?
JOLTs(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는 미국 노동부 산하 통계국(BLS: Bureau of Labor Statistics)이 매월 발표하는 고용 시장 동향 보고서입니다.
이 보고서는 미국 전역의 민간 및 공공 기관들을 대상으로 조사하며, 일자리 공고 수, 채용 수, 퇴사 수, 해고 수, 이직률 등 노동시장 내 ‘수급 흐름’을 포괄적으로 측정합니다.
3. 발표 및 활용 정보 요약
항목 | 내용 |
---|---|
주관 기관 | 미국 노동통계국 (BLS) |
발표 시기 | 매월 초, 약 두 달 전 자료 발표 (예: 4월 초에는 2월 데이터 발표) |
발표 빈도 | 매월 |
발표 시간 | 미국 동부시간 기준 오전 10시 |
조사 대상 | 약 21,000개 기업 (민간·공공 포함) |
활용 주요 기관 | 연준(Fed), 경제분석가, 투자기관 등 |
4. JOLTs의 구성 요소
JOLTs는 총 5가지 핵심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1. Job Openings (공석/일자리 공고 수)
- 기업들이 채용 공고를 내고 사람을 찾고 있는 일자리 수
- 노동 수요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
- 수치가 높을수록 → 기업이 고용에 적극적 → 경기 강세 신호
▪️ 2. Hires (채용 수)
- 일정 기간 내 실제로 고용된 인원 수
- 일자리 공고가 있어도 채용이 적다면, 매칭에 문제가 있거나 인력 부족 가능성
▪️ 3. Quits (자발적 이직 수)
- 본인의 의사로 퇴사한 사람의 수
- 이 수치가 높을수록 노동자가 다른 기회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의미 → 노동시장 강세
▪️ 4. Layoffs & Discharges (비자발적 해고 및 방출 수)
- 회사 측에 의해 일방적으로 해고된 인원
- 이 수치가 낮으면 → 고용 안정성 확보 → 고용시장 호조
▪️ 5. Total Separations (총 이직 수)
- 위의 자발적 이직(Quits), 해고(Layoffs), 기타 사유(은퇴 등)를 모두 포함한 총 퇴직자 수
5. JOLTs의 경제적 의미와 해석 포인트
🔸 Job Openings vs. Unemployed
- 흔히 비교되는 수치가 일자리 수(Job Openings)와 실업자 수(Unemployed) 간의 비율입니다.
- 예: 1개의 일자리에 1.4명의 실업자가 있다 → 수요가 많고 공급이 부족
- 연준은 이 수치를 통해 노동시장의 과열 여부를 판단
🔸 Quits 비중
- 높은 자발적 이직률은 근로자 자신감 증가의 표시
→ 더 나은 보상·조건을 찾는 이직자 증가
→ 노동시장 강세의 신호로 해석
🔸 Layoffs 증가
- 비자발적 해고가 늘어날 경우, 이는 기업이 비용 절감을 위해 구조조정에 나섰다는 신호 → 경기 둔화 가능성
6. JOLTs가 중요한 이유 – Fed의 정책 결정과 연관
연준(Fed)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조정할 때, JOLTs를 통해 노동시장이 과열됐는지, 혹은 완화되고 있는지를 관찰합니다.
- Job Openings가 지나치게 많고, Quits 비율도 높은 경우
→ 임금 상승 압박 → 인플레이션 우려 → 금리 인상 유지 또는 강화 가능성 - 반대로, 공석 수가 줄고, 해고가 늘어나면
→ 노동시장 냉각 조짐 → 금리 인하 고려 여지
즉, JOLTs는 물가(인플레이션)와 밀접하게 연결된 노동시장의 압력 측정기로, 통화정책 방향을 예측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7. 최근 수치 예시 및 시장 반응 (예: 2025년 2월 발표, 12월 데이터 기준)
항목 | 수치 | 시장 해석 |
---|---|---|
Job Openings | 880만 개 | 전월 대비 소폭 감소 → 노동시장 완화 신호 |
Hires | 570만 명 | 큰 변화 없음 |
Quits | 340만 명 | 감소 → 이직에 대한 자신감 하락 |
Layoffs | 160만 명 | 전월 대비 소폭 증가 → 경기 둔화 우려 |
▶ 해석:
- 일자리 수와 이직률이 모두 감소하며 노동시장이 점진적으로 식고 있음
-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될 수 있음
- 시장은 ‘노동시장 식는다’ → 채권금리 하락, 주식 반등하는 흐름 보여
8. 요약 정리
항목 | 의미 | 높을수록 의미 |
---|---|---|
Job Openings | 공석 수 | 노동 수요 강함, 경기 활황 |
Hires | 채용 수 | 실제 고용 활발 |
Quits | 자발적 이직 | 노동자 자신감, 이직 용이 |
Layoffs | 해고 수 | 경기 둔화 가능성 |
Unemployed per Opening | 실업자 대 공석 비율 | 높으면 → 고용시장 약세 |
9. 결론: 고용시장 흐름을 읽는 ‘유동지표’
JOLTs는 고용시장의 정적 수치(실업률, 비농업 고용자 수)가 보여주지 못하는 ‘사람들의 움직임’과 ‘기업의 채용 의지’를 드러냅니다.
특히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은 현재, 연준이 가장 주의 깊게 지켜보는 지표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이직할 생각을 하는가?, 기업이 사람을 더 뽑고 싶은가?”
이 간단한 질문들이 미국 경제의 방향과 금리의 향방을 결정짓는 시대, JOLTs는 반드시 주목해야 할 지표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