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령”을 영어로?

“계엄령”은 국가 비상사태, 전쟁, 내란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법질서가 유지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군대가 일정 기간 동안 치안과 행정 권한을 대신 행사하도록 선포되는 특별 명령입니다. 이 명령이 내려지면 군이 경찰 업무를 대신 수행하고, 일부 기본권이 제한되며, 군사재판이 열릴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비상조치’의 하나로, 법적 근거는 헌법과 계엄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계엄령”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1. Martial Law (계엄령, 군 통치)
  2. State of Martial Law (계엄 상태)
  3. Military Rule (군의 통치)

1. Martial Law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표현으로, 군대가 민간 정부를 대신하여 통치하는 비상 상태를 의미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공식 용어입니다.

  • “The president declared martial law to restore order in the capital.”
    (대통령은 수도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계엄령을 선포했다.)
  • “Under martial law, citizens may be subject to curfews and military trials.”
    (계엄령 하에서는 시민들이 통행금지나 군사재판에 처해질 수 있다.)
  • “The country has not experienced martial law since the 1980s.”
    (그 나라는 1980년대 이후 계엄령이 내려진 적이 없다.)

2. State of Martial Law

“Martial law”를 강조하거나 설명할 때 쓰이는 표현으로, ‘계엄 상태에 돌입했다’는 식으로 문장 안에서 자주 쓰입니다.

  • “A state of martial law was imposed following the attempted coup.”
    (쿠데타 시도 이후 계엄 상태가 선포되었다.)
  • “During a state of martial law, the military takes over civilian functions.”
    (계엄 상태 동안에는 군이 민간 기능을 대신 수행한다.)
  • “The announcement of a state of martial law led to widespread panic.”
    (계엄령 선포 소식은 광범위한 공포를 불러일으켰다.)

3. Military Rule

“Military rule”은 군이 직접 통치하는 체제를 말하며, 때로는 장기적인 계엄 상태 또는 군사 독재를 지칭할 때도 사용됩니다. ‘Martial law’보다는 넓은 개념입니다.

  • “The nation was under military rule for over a decade.”
    (그 나라는 10년 넘게 군 통치 아래 있었다.)
  • “Protesters demanded an end to military rule.”
    (시위대는 군 통치의 종료를 요구했다.)
  • “Military rule often suspends constitutional rights.”
    (군 통치하에서는 헌법상 권리가 자주 정지된다.)

“계엄령”은 “Martial Law,” “State of Martial Law,” 또는 “Military Rule”로 번역할 수 있으며, 상황의 긴급성이나 통치의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