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도선매(立稻先賣)”를 영어로?

“입도선매(立稻先賣)”는 물건이 완성되기 전에 먼저 사고 파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 성어는 “아직 수확하지 않은 벼를 미리 팔겠다고 하는 것”이라는 비유를 통해, 상품이나 일의 결과물이 완성되기 전에 이를 거래하려는 행위를 경계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미리 결과를 예측하거나 기대하여,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거래를 하는 것을 비판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출전은 『조선왕조실록』과 『허생전』에 나옵니다.


“입도선매(立稻先賣)”의 영어 표현 방법

  1. “Selling before the product is ready”
  2. “Making deals before the outcome is certain”
  3. “Pre-selling before completion”

  1. “Selling before the product is ready”

“Selling before the product is ready”는 물건이 아직 준비되지 않았는데 먼저 팔겠다고 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입도선매의 핵심 의미를 그대로 전달하는 표현입니다.

  • “He made the mistake of selling before the product was ready, promising deliveries he couldn’t fulfill.”
    (그는 제품이 준비되기 전에 미리 팔아서, 이행할 수 없는 약속을 했다.)
  • “The company learned the hard way about selling before the product is ready, which led to customer dissatisfaction.”
    (그 회사는 제품이 준비되기 전에 팔았다는 실수를 통해 고객 불만을 초래했다.)
  • “It’s risky selling before the product is ready, as you might face delays and lose credibility.”
    (제품이 준비되기 전에 미리 팔면 지연이 발생하고 신뢰를 잃을 위험이 크다.)

  1. “Making deals before the outcome is certain”

“Making deals before the outcome is certain”은 결과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거래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입도선매의 본질적인 경고를 잘 전달합니다.

  • “He warned against making deals before the outcome is certain, as it could lead to unexpected losses.”
    (그는 결과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거래를 하면 예기치 못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Investors should be cautious about making deals before the outcome is certain, especially in volatile markets.”
    (투자자들은 결과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거래를 하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 특히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더더욱.)
  • “The team regretted making deals before the outcome was certain, as they faced delays and complications later.”
    (그 팀은 결과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거래를 한 것을 후회했다. 이후 지연과 복잡함을 겪었기 때문이다.)

  1. “Pre-selling before completion”

“Pre-selling before completion”은 상품이나 서비스가 완성되기 전에 미리 팔겠다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이는 입도선매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 “The developer faced backlash for pre-selling before completion, as many buyers were left waiting for years.”
    (그 개발자는 완공되기 전에 미리 팔아서 많은 구매자들이 수년간 기다리게 되자 비판을 받았다.)
  • “It’s not advisable to pre-sell before completion, especially if you can’t guarantee the final product’s quality.”
    (완공되기 전에 미리 파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최종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면 더더욱.)
  • “They were criticized for pre-selling before completion, leading to a loss of trust among their customers.”
    (그들은 미리 팔아서 비판을 받았고, 그로 인해 고객들의 신뢰를 잃었다.)

“입도선매(立稻先賣)”의 의미

“입도선매(立稻先賣)”는 “물건이 완성되기 전에 미리 거래를 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아직 수확하지 않은 벼를 미리 팔겠다”는 비유를 사용하여, 결과물이 완성되기 전에 거래를 시작하는 것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결과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품이나 계약을 미리 거래하려는 태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말입니다.

영어로는 “Selling before the product is ready”, “Making deals before the outcome is certain”, “Pre-selling before completion”와 비슷한 의미를 가집니다. 이 성어는 신중함과 기다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결과물이 완성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