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 풀린 망아지”는 자신을 통제할 수 없이 난폭하게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하는 속담입니다. 고삐는 말이나 망아지를 통제하는 도구로, 고삐가 풀린 망아지는 통제할 수 없이 자유롭게 행동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 속담은 자유롭고 통제되지 않은 행동이나 자신의 욕망이나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는 사람의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고삐 풀린 망아지”의 영어 표현 방법
- “A horse without reins.”
- “A wild horse running free.”
- “A person out of control.”
1. “A horse without reins.”
(고삐 없는 말.)
이 표현은 고삐를 잃어버린 말처럼 통제할 수 없는 상태를 강조합니다. 자유롭고 통제되지 않는 행동을 묘사합니다.
- “He’s like a horse without reins, doing whatever he wants without thinking of the consequences.”
(그는 고삐 없는 말 같아서,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원하는 대로 한다.) - “She’s become a horse without reins, no longer following the rules or restrictions.”
(그녀는 고삐 없는 말처럼, 더 이상 규칙이나 제약을 따르지 않는다.) - “The team has become a horse without reins, with no one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ons.”
(팀은 고삐 없는 말처럼 되어, 아무도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
2. “A wild horse running free.”
(자유롭게 달리는 야생마.)
이 표현은 자유롭고 통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며, 자기 멋대로 행동하는 사람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He’s like a wild horse running free, acting impulsively and without any restraint.”
(그는 자유롭게 달리는 야생마 같아서, 충동적으로 행동하고 아무런 억제가 없다.) - “Without any discipline, he’s a wild horse running free, causing chaos wherever he goes.”
(규율이 없으면, 그는 자유롭게 달리는 야생마 같아서 가는 곳마다 혼란을 일으킨다.) - “She was once disciplined, but now she’s like a wild horse running free, ignoring all authority.”
(그녀는 한때 규율이 있었지만, 이제는 자유롭게 달리는 야생마 같아서 모든 권위를 무시한다.)
3. “A person out of control.”
(통제 불능인 사람.)
이 표현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없는 사람을 나타내며, 고삐 풀린 망아지처럼 자신을 제어하지 못하는 사람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 “He’s a person out of control, always acting without thinking about the consequences.”
(그는 통제 불능인 사람이라, 항상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행동한다.) - “She’s become a person out of control, no longer respecting anyone or anything.”
(그녀는 통제 불능인 사람이 되어, 더 이상 누구도, 어떤 것도 존중하지 않는다.) - “The situation is getting worse because of a person out of control, causing chaos in every decision.”
(상황은 통제 불능인 사람 때문에 점점 더 나빠지고 있으며, 모든 결정에서 혼란을 일으킨다.)
“고삐 풀린 망아지”의 의미
이 속담은 자신을 통제할 수 없이 자유롭게 행동하는 사람을 묘사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주로 자기 감정이나 욕망을 억제하지 못하고, 규칙이나 제약을 무시하며 행동하는 사람을 나타냅니다. 고삐가 풀린 망아지처럼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을 강조하며, 자유롭게 행동하는 동시에,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데 쓰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