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로 주고 말(斗)로 받는다”는 상대방에게 당한 것보다 더 크게 복수하거나, 반대로 상대방이 자신에게 한 것보다 더 크게 당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속담입니다. 이 표현은 자기보다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만드는 상황을 묘사하며, 받은 만큼 되갚는 혹은 상대방이 한 것보다 더 큰 대가를 치르는 상황을 강조합니다. 이 속담은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와 유사한 의미를 지니며, 상대방의 행동에 비해 훨씬 더 강한 반응을 보일 때 쓰입니다.
“되로 주고 말(斗)로 받는다”의 영어 표현 방법
-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 “A taste of your own medicine.”
- “Tit for tat.”
1.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이 표현은 자신이 한 일이 결국 자신에게 돌아오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상대방이 나쁜 행동을 하면, 그것이 결국 자신에게 더 큰 대가로 돌아온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He was rude to everyone at work, and now,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 he’s being fired.” (그는 직장에서 모두에게 불친절했지만, 결국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말처럼 해고당했다.)
- “Don’t hurt others, because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다른 사람을 해치지 마라, 결국 그것이 자신에게 돌아온다.)
2. “A taste of your own medicine.”
이 표현은 상대방이 자신에게 한 나쁜 행동을 똑같이 되돌려주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상대방이 했던 나쁜 행동을 그만큼 강하게 되갚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 “After all the cheating he did, now he’s getting a taste of his own medicine.” (그가 모든 걸 속였으니, 이제 그는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말처럼 똑같이 대가를 치르게 되었다.)
- “She was always bossing people around, and now she’s getting a taste of her own medicine.” (그녀는 항상 사람들을 부려먹었고, 이제 그녀도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
3. “Tit for tat.”
이 표현은 상대방이 한 대로 똑같이 되갚는 의미로, 상대방이 한 행동에 대해 그에 맞는 대가를 치르게 하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 “He took the money and ran, but now it’s tit for tat – he’s been caught and arrested.” (그는 돈을 빼앗아 도망갔지만, 이제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말처럼 잡혀서 체포되었다.)
- “If you keep bothering me, expect a tit for tat.” (만약 계속 괴롭힌다면, 너도 그에 맞는 대가를 치를 것이다.)
“되로 주고 말(斗)로 받는다”의 의미
“되로 주고 말(斗)로 받는다”는 상대방에게 받은 만큼 되갚거나, 더 큰 대가를 치르게 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속담입니다. 이는 상대방의 행동에 비해 훨씬 더 강한 반응을 보이거나,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는 상황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와 비슷한 의미로, 상대방의 행동에 비례하여 그보다 더 강력한 대가를 치르게 한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