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를 영어로?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는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다른 사람도 그것을 가지지 못하게 하려는 질투심과 악의적인 마음을 표현한 속담입니다. 이 속담은 자기 자신이 갖지 못하는 것을 다른 사람이 가지지 못하게 방해하려는 뒤틀린 심리를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비슷한 표현으로 “못 먹는 떡에 침 뱉기”가 있습니다.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의 영어 표현 방법

  1. “Misery loves company.”
  2. “If I can’t have it, no one can.”
  3. “Cutting off your nose to spite your face.”

1. “Misery loves company.”

이 표현은 불행한 사람이 다른 사람도 불행하게 만들려 한다는 의미입니다. 자신이 갖지 못하는 것을 다른 사람도 못 가지게 하려는 질투심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와 유사합니다.

  • “He couldn’t get the promotion, and now he’s trying to sabotage his colleague. Misery loves company.” (그는 승진을 못 했고, 이제 동료를 방해하려 한다.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와 같다.)
  • “She didn’t get the dress she wanted, so now she’s trying to ruin it for her friend. Misery loves company.” (그녀는 원하던 드레스를 못 샀으므로 이제 친구도 못 사게 방해하고 있다.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처럼.)

2. “If I can’t have it, no one can.”

이 표현은 자기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다른 사람도 그것을 가지지 못하게 하겠다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이 속담은 이기적이고 질투심이 강한 행동을 비판하는 말로,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와 같은 뜻입니다.

  • “He didn’t get the job, so now he’s spreading rumors to make sure no one else does. If I can’t have it, no one can.” (그는 그 일을 얻지 못하자 이제 다른 사람도 얻지 못하게 소문을 퍼뜨리고 있다.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와 같다.)
  • “She couldn’t win the competition, so now she’s trying to ruin it for the other contestants. If I can’t have it, no one can.” (그녀는 대회에서 이기지 못하자 이제 다른 참가자들도 망치려고 하고 있다.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처럼.)

3. “Cutting off your nose to spite your face.”

이 표현은 자기에게 해가 되는 방식으로 남을 해치려는 어리석은 행동을 의미합니다. 자기 자신에게도 손해가 가는 방식으로, 남을 방해하려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이와 같은 의미로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와 비슷한 뜻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 “He didn’t get the promotion, and now he’s quitting his job just to spite the company. Cutting off your nose to spite your face.” (그는 승진을 못 하자 회사를 방해하려고 일을 그만두고 있다.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와 같다.)
  • “She’s trying to make her friend fail just because she didn’t win. Cutting off your nose to spite your face.” (그녀는 자신이 이기지 못했다고 친구가 실패하도록 방해하고 있다.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처럼.)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의 의미

이 속담은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다른 사람도 그것을 갖지 못하도록 방해하려는 질투심과 악의적인 마음을 강조합니다. 자신이 못 가진 것에 대한 미련과 불만으로 다른 사람에게도 그 기회를 빼앗으려는 비뚤어진 심리를 비판하는 말입니다. 이 속담은 자기만큼 남도 불행하게 만들려는 심리를 나타내며, 그런 행동이 결국 자신에게도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