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 약방문”을 영어로?

“사후 약방문”은 일이 이미 끝난 뒤에 해결책이나 조치를 취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속담입니다. 여기서 ‘약방문’은 예전 의사의 처방전으로, 환자가 죽고 난 후에 약을 지어본들 아무 소용 없다는 뜻에서 유래합니다. 이 속담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예방적 조치가 필요하며, 일이 다 끝난 후에는 아무리 해결책을 제시해도 소용이 없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사후 약방문”의 영어 표현 방법

  1. “Closing the stable door after the horse has bolted.”
  2. “It’s no use crying over spilled milk.”
  3. “You can’t undo the past.”

1. “Closing the stable door after the horse has bolted.”

이 표현은 이미 일이 일어난 후에는 해결책이 효과가 없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말을 풀어 놓고 난 후에 마구를 채우는 것처럼, 이미 발생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은 소용이 없다는 뜻입니다.

  • “They wanted to improve safety measures after the accident, but that’s like closing the stable door after the horse has bolted.” (그들은 사고 후 안전 조치를 강화하려 했지만, 그것은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과 같다.)

2. “It’s no use crying over spilled milk.”

이 표현은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해서 후회하거나 아쉬워해도 아무 의미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사후에 아무리 후회해도 이미 지나간 일은 되돌릴 수 없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You missed the opportunity, but it’s no use crying over spilled milk.” (기회를 놓쳤다면 이제 그만 후회해도 소용없다.)
  • “The project failed, but it’s no use crying over spilled milk. Let’s focus on the next one.” (프로젝트가 실패했지만, 이제 와서 후회해봐야 소용없다. 다음 프로젝트에 집중하자.)

3. “You can’t undo the past.”

이 표현은 과거의 일을 되돌릴 수 없다는 뜻을 전합니다. 이미 일어난 일은 바꿀 수 없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찾으려 해도 그것은 불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 “The decision was made, and you can’t undo the past.” (그 결정은 이미 내려졌고, 과거를 되돌릴 수는 없다.)
  • “We made mistakes, but you can’t undo the past. What’s important now is moving forward.” (우리가 실수를 했지만, 과거는 되돌릴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사후 약방문”의 의미

“사후 약방문”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점이 지나버린 후에 후회하며 해결책을 찾으려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이미 일이 끝난 뒤에는 그 어떤 해결책도 소용이 없으며, 중요한 것은 사전에 예방이나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